반응형 시간복잡도2 데이터 구조 및 알고리즘의 시공간 복잡도를 한눈에!!!! 안녕하세요~ 요새 한참 장마철이라 비가 엄청 오네요. 일본에 비오는거 보니까 집이 완전히 고꾸라지는 장면도 뉴스에 나오던데요... 아무쪼록 이번 장마로 큰 피해가 없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 자, 오늘은 여러분들이 알고있는 대부분의 데이터 구조(Data Structures)와 정렬 알고리즘(Array Sorting Algorithm), 그래프연산(Graph Operation) 및 힙 연산(Heap Operation)에 대한 시간 복잡도(Time Complexity)와 공간 복잡도(Space Complecity)를 Big-O 노테이션으로 계산한 값이 얼마나 되는지 한눈에 요약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 우선 시공간 복잡도를 표시하기 위한 등급을 아래와 같이 색깔별로 나누었습니다. 초록색일 수록 좋은것이고 빨간.. 2016. 7. 2. 알고리즘이란? 시간/공간 복잡도란? 알고리즘이라는 것은 원하는 출력 또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명령어 셋을 특정 순서에 따라 정의해놓은 것입니다. 간단히 말하면 수학의 공식과도 같은 것이죠.데이터 구조 관점에서 봤을 때 몇가지 중요한 알고리즘 카테고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−검색 알고리즘 − 데이터 구조 안에 있는 특정 아이템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정렬 알고리즘 − 아이템들을 특정 순서에 따라 정렬하기 위한 알고리즘삽입 알고리즘 − 데이터 구조에 아이템을 추가하기 위한 알고리즘수정 알고리즘 − 데이터 구조에 이미 존재하는 아이템을 수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삭제 알고리즘 − 데이터 구조에 이미 존재하는 아이템을 삭제하기 위한 알고리즘알고리즘의 특징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−명확성 − 알고리즘은 애매모호하지 않고 명확해야 .. 2016. 6. 24. 이전 1 다음 728x90